윈도우에서의 SSD 최적화
SSD의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많은 분들이 SSD를 장착하고 계시고, 앞으로도 장착할 것입니다.
저도 얼마 전 SSD를 구입 후 장착해서 사용중입니다.
보통 SSD를 구입 후 장착하면 운영체제를 새로 깔게 되는데, 요즘 나오는 대부분의 운영체제는 SSD를 인식해서 자동으로 옵션들을 맞춰 주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혹시나 모르니 확인을 해야해서 작성해 봅니다.
필수 : 대부분 사용자들이 추천하고있고, 윈도우 자체에서 설정이 되는 것들입니다. 옵션 : 해도되고 안해도 되는 사용자 본인의 판단입니다.
(필수)AHCI 모드 및 TRIM 기능 활성화 확인(자동)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fsutil behavior query DisableDeleteNotify
- 입력 후 출력창에 0이 나오면 정상입니다.
- 만약 1이 나온다면 AHCI 모드가 활성하 안됐거나, TRIM 기능이 실행이 안되는 것입니다.
(필수)가상메모리 최적화(수동)
윈도우 탐색기(Window Key + E
) 를 실행하여 좌측 내 PC
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뜨는 팝업창에서 속성
을 클릭합니다.
윈도우 탐색기(Window Key + E) 를 실행하여 좌측 내 PC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뜨는 팝업창에서 속성을 클릭합니다.
제어판
이 뜨면 좌측 메뉴에서 고급 시스템 설정
으로 들어갑니다.
제어판이 뜨면 좌측 메뉴에서 고급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시스템 속성
창이 뜨면 고급
탭으로 들어가 성능 항목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시스템 속성창이 뜨면 고급탭으로 들어가 성능 항목의 설정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시 성능 옵션
창에서 고급
탭으로 이동하면 가상메모리
란에 현재 페이징 파일의 크기
가 나타나는데 너무커도 안되고, 0이어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변경
버튼을 클릭하여 가상메모리
를 설정해 줍니다.
다시 성능 옵션창에서 고급탭으로 이동하면 가상메모리란에 현재 페이징 파일의 크기가 나타나는데 너무커도 안되고, 0이어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변경버튼을 클릭하여 가상메모리를 설정해 줍니다.
가상메모리
창에서 다른 드라이브들은 모두 없음으로 설정해 주시고, C 드라이브
만 사용자 지정크기로 변경해 주신 후 처음크기와 최대크기를 입력합니다.(여기서 참고하실 사이트 : http://cappleblog.co.kr/247)
가상메모리창에서 다른 드라이브들은 모두 없음으로 설정해 주시고, C 드라이브만 사용자 지정크기로 변경해 주신 후 처음크기와 최대크기를 입력합니다.(여기서 참고하실 사이트 : http://cappleblog.co.kr/247)
모두 변경 후 확인을 누르면 시스템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는 메시지가 뜹니다.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모두 변경 후 확인을 누르면 시스템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필수)최대 절전 모드 끄기(수동)
커맨드창(cmd.exe)을 관리자로 열어서 작업 , powercfg.exe/hibernate off
(필수)조각모음 꺼주기(자동)
WINDOW7 이후는 자동으로 꺼져 있습니다. 그래도 확인~~
시작메뉴옆의 검색상자에 조각모음
이라고 치면 그림처럼 나타납니다.드라이브 조각 모음 및 최적화
를 클릭하여 드라이브 최적화 설정화면
으로 이동합니다.
시작메뉴옆의 검색상자에 조각모음이라고 치면 그림처럼 나타납니다. 드라이브 조각 모음 및 최적화를 클릭하여 드라이브 최적화 설정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드라이브 최적화
창에서 SSD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아래 예약된 최적화
부분처럼 해제
가 되어 있어야 정상입니다.
드라이브 최적화창에서 SSD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아래 예약된 최적화부분처럼 해제가 되어 있어야 정상입니다.
만약 설정으로 되어있다면, 설정 변경
버튼을 눌러 드라이브 최적화
창을 열고,
만약 설정으로 되어있다면, 설정 변경버튼을 눌러 드라이브 최적화 창을 열고,
예약 실행(권장)
에 체크를 해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약 실행(권장)에 체크를 해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옵션)슈퍼패치(Superfetch) 끄기(자동)
슈퍼패치는 느린 하드디스크와 빠른 메모리 사이에서 지능형 캐시로 완충역할을 함으로서, 윈도우 성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줬습니다. 하지만 SSD의 등장으로 슈퍼패치의 필요성이 많이 사라졌습니다. (WINDOW7 이후 SSD장착 시 슈퍼패치기능은 자동으로 중지됩니다.)
확인방법
시작메뉴옆의 검색상자에 서비스
를 입력하고 엔터
서비스창에서 Superfetch
를 찾아 더블클릭하면 Superfetch 속성창이 열립니다.
서비스창에서 Superfetch 를 찾아 더블클릭하면 Superfetch 속성창이 열립니다.
속성창에서 그림처럼 화살표를 클릭하면 시작유형을 보실 수 있습니다.
속성창에서 그림처럼 화살표를 클릭하면 시작유형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 안 함
으로 되어있다면 그냥 취소
를 눌러 종료해 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사용 안 함
이외이 것으로 되어있다면, 그림처럼 사용 안 함
으로 변경해 주시고, 중지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적용
버튼을 눌러 변경사항을 저장해 주세요.
사용 안 함으로 되어있다면 그냥 취소를 눌러 종료해 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사용 안 함이외이 것으로 되어있다면, 그림처럼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해 주시고, 중지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적용버튼을 눌러 변경사항을 저장해 주세요.
서비스상태가 중지됨
상태라면 아래 확인
버튼을 눌러 창을 닫아주시면 됩니다.
서비스상태가 중지됨 상태라면 아래 확인버튼을 눌러 창을 닫아주시면 됩니다.
(옵션)검색기능 끄기(수동)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지만 저 같은경우 윈도우 검색을 사용하기보다는 Everything 이라는 검색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끄고 사용중입니다.
끄는 방법은 위 슈퍼패치와 동일합니다. 서비스명은 Windows Search
입니다.
Windows Search
를 찾아 더블클릭 후 속성창에서 사용 안 함
으로 변경하고, 중지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옵션)디스크 색인기능 끄기(수동)
역시 색인기능 또한 호불호가 갈립니다. 솔직히 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에 저는 꺼 두고 사용합니다.
윈도우 탐색기(Window Key + E)
에서 C:\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합니다.
팝업창이 뜨면 속성
을 클릭해서 속성창을 엽니다.
윈도우 탐색기(Window Key + E)에서 C:\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합니다. 팝업창이 뜨면 속성을 클릭해서 속성창을 엽니다.
속성창 하단에 이 드라이브의 파일 속성 및 내용 색인 허용
란의 체크를 해제해 주시고 적용->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속성창 하단에 이 드라이브의 파일 속성 및 내용 색인 허용란의 체크를 해제해 주시고 적용->확인버튼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그 외(저의 경우)
- 인터넷 임시파일 위치 변경하기 : 그대로 사용중
- 시스템 보호기능끄기 : 보호기능 사용 안 함
같이보기
'컴퓨터 일반 > 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Vim(windows vim 에디터) (0) | 2018.11.12 |
---|---|
절전 모드와 최대 절전 모드의 차이점 (0) | 2016.04.16 |
명령 프롬프트(CMD.EXE)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 (0) | 2016.04.10 |
AIMP4 + MiniLyrics 로 노래가사 보기 (2) | 2016.04.09 |
AnySign 서비스 중지하기 (0) | 2016.04.08 |